본문 바로가기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안녕하세요, 안전운전 마스터 효뭉입니다. 

 

오늘은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경찰통계자료에 의하면 '운전면허 소지자 현황' 중 연령대로 보았을 때

64세 이상 소지자가 2014년에서 2018년까지 5년간 113만 9천명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그동안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률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지난 10년간 전체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매년 감소하거나 소폭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증가 추세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고령운전자의 경우 신체적인 노화 또는 정보처리 기능의 약화 등으로 인해 사고 발생율이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검사 및 교육으로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생겼고,

이에 대응하여 도로교통공단에서 2019년 1월 1일 부터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2019년 1월 1일부터 만 75세 이상 운전자의 갱신기간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됩니다.

  갱신기간이 지나면 과태료 3만원이 부과되고, 면허가 취소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면허증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인지능력 자가진단이 포함된 2시간의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고령운전자 교통 안전 교육 시 시행하는 인지능력 자가진단의 실시 방법과 그 자가진단의 결과가

  안전운전에 상당한 장애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수시적성검사 대상으로 편입해 운전 적격 여부를 판정합니다. 

 

 

*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 신청방법

  1. 인터넷 접수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www.safedriving.or.kr 으로 접속하여 고령 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을 클릭한 후 

     원하는 교육 일자 및 장소를 선택하여 접수할 수 있습니다.

  2. 전화접수 

     어르신들 중에는 인터넷과 친숙하지 않으신 분들이 많으시지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도로교통공단 고객지원센터 1577-1120으로 전화하여 접수할 수 있습니다. 

 

* 수시적성검사 진행절차

  수시적성검사 대상자로 고지된 당일 전산 등록이 이루어집니다. 

  구비서류 준비기간은 45일이고, 수시적성검사 기간은 3개월입니다. 

  준비서류는 운전적성판정위원회에 제출하며, 본 위원회에서 운전적격 여부를 판정합니다. 

  수시적성검사는 기간 내에 1회만 받으면 되고, 판정유예 결정 시 1년 후에 재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 (총 19문항, 총 30점)

  1. 올해는 몇 년도 인가요?

  2. 지금은 무슨 계절인가요?

  3. 오늘은 며칠인가요?

  4. 오늘은 무슨 요일인가요? 

  5. 지금은 몇 월인가요?

  6. 우리가 있는 이곳은 무슨 도/특별시/광역시인가요?

  7. 여기는 무슨 시/군/구 인가요?

  8. 여기는 무슨 구/동/읍 인가요?

  9. 우리는 지금 이 건물의 몇 층에 있나요?

  10. 이 장소의 이름이 무엇인가요?

  11. 지금부터 세가지 물건의 이름을 말씀드리면 끝까지 다 들은 후 세가지 물건의 이름을 모두 말씀하세요. 

       몇 분 후 그 세가지 물건의 이름들을 다시 물어볼 것이니 들은 물건의 이름을 잘 기억하세요. 

  12. 100에서 7을 빼면 얼마인가요?

       거기에서 7을 빼면 얼마인가요?

       거기에서 7을 빼면 얼마인가요?

       거기에서 7을 빼면 얼마인가요?

       거기에서 7을 빼면 얼마인가요?

  13. 조금 전에 기억하라고 말한 세 가지 물건의 이름을 말씀하세요. 

  14. (시계를 보여주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연필을 보여주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15. 하는 말을 끝까지 듣고 따라해 보세요. 한 번만 말씀드리니 잘 듣고 따라하세요. 

       간 장 공 장 공 장 장 

  16. 지금부터 말씀드린 대로 해 보세요. 한번만 말씀드릴 것이니 잘 듣고 그대로 해보세요. 종이를 한 장 드리면

       그 종이를 오른손으로 받아, 반으로 접은 후, 무릎 위에 올려주세요. 

       (지시를 끝낸 후에 종이를 건네주며, 지시 반복하거나 옆에서 도와주면 안된다) 

  17. (겹친 오각형 그림을 가리키며) 여기에 오각형이 겹쳐져 있는 그림이 있는데 이 그림을 아래 빈 곳에 그대로 그려보세요. 

  18. 옷은 왜 빨아서 입나요?

  19. "티끌 모아 태산"은 무슨 뜻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