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전운전 마스터 효뭉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차량 관리법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겨울철에는 다른 계절보다도 각별한 관리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소한 실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고, 실제로 사고가 가장 많이 나는 계절이 겨울철이기 때문입니다.
겨울철에 간단한 관리법이라고 한다면 충분한 예열 후 운행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출발 전에 잠시 기다리는 것이 지루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특별히 겨울철이 아니더라도 언제나 차량 관리에 도움이 되는 습관이니 권장드립니다.
* 배터리 관리
배터리는 시동을 걸었을 때 스타트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자 장비들을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배터리가 겨울철에는 빈번하게 방전된다고 합니다.
기온이 낮아지면 배터리 전압이 약해지기 때문에 방전이 되는 것입니다.
배터리 전압이 낮아지면 차량 운행에 있어 위와 같은 중요한 기능들도 수행하기 어려워 지므로 특히 신경써야 합니다.
특히 대부분의 차량에 블랙박스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배터리 수명도 더 줄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만약 여름철에 배터리 방전으로 점프한 경험이 있다면 더더욱 배터리 관리에 신경 쓰셔야 합니다.
* 타이어 점검
타이어의 재질(고무) 특성 상 기온이 낮아지면 기능이 다소 저하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능이 저하되면 제동거리가 늘어나며 수축 현상으로 인해 공기압이 빨리 감소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타이어를 점검하고, 특히 공기업이 적정한 지 수시로 체크하셔야 합니다.
가까운 세차장이나 주유소 또는 정비소 등에 방문하면 공기압 측정기로 본인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여름과 겨울에는 적정 공기압이 다르므로 계절에 맞는 공기압으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 냉각수, 부동액 점검
부동액은 교환주기가 긴 소모품 중 하나이지만 누수가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각별히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냉각수가 새는 경우 엔진 과열 현상으로 인해 아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동액은 고온에서 시럽 냄새가 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만약 히터를 켰는데 달콤한 냄새가 난다면 부동액이 새고 있다는 것이므로
조속히 점검을 받으셔야겠습니다.
참고로, 냉각수의 권장 교체 주기는 10년/20만km라고 합니다.
다만, 냉각수가 부족하여 물을 보충하였거나 냉각수를 교체한 경우에는 2년/4만km마다 교체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냉각수 : 자동차 엔진이 혼합기를 폭발시키는 과정에서 고열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뜨거워진 엔진을 식히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물과 부동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과 부동액은 5:5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부동액 비율이 높아지는 경우 어느점이 내려가지만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 부동액 : 겨울철에 냉각수가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냉각수 원액을 말합니다.
* 타이어체인 준비
갑작스런 폭설에 대비해 스노우 체인을 구비하거나 겨울용 윈터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도 권유드립니다.
스노우 체인을 구비한 경우 장착법에 대해 배우는 것도 필요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준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스프레이 체인 등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와이퍼 관리
와이퍼는 여름에 좀 더 중요하긴 하지만 겨울철에도 눈으로 인해 여름철 못지 않게 와이퍼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다만, 유리창에 눈이 쌓인 경우 와이퍼를 작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눈이 얼어 붙은 경우 등으로 인해
와이퍼의 고무날이 손상되거나 유리에 금이 가는 등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삼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등화장치 점검
겨울철에는 여름철보다 해가 금방 지기 때문에 일찍 어두워집니다.
따라서 전조등,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등 특히 자주사용하는 등화장치들이 잘 작동하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과태료와 범칙금의 차이점 (0) | 2019.12.06 |
---|---|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음주운전 처벌기준 강화(feat.윤창호법) (0) | 2019.12.05 |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전국 운전면허시험장 위치 및 정보 (0) | 2019.12.03 |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쉽게 하는 셀프 주유 방법 (0) | 2019.12.02 |
초보운전자를 위한 꿀Tip! 접촉사고 시 사진 촬영 방법 5가지 (0) | 2019.12.01 |